자동차 경고등 종류 계기판 알림 64가지
자동차 경고등 종류 계기판 알림 64가지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계기판에 낯선 경고등이 켜져서 당황스러운 경험을 한 번쯤은 해보셨을 겁니다. 자동차 경고등은 단순히 불편을 알리는 표시가 아니라, 안전과 직결된 문제를 즉각적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특히 최근 출시되는 차량들은 전자장비가 많아지면서 계기판 경고등의 종류도 더욱 세분화되었습니다. 따라서 운전자가 어떤 불빛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심각한 고장을 놓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경고등 64가지를 정리해 각각의 의미와 대응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글을 꼼꼼히 읽어두시면 실제 상황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동차 경고등 64가지 정리
아래는 64가지 경고등과 알림등의 의미를 정리한 목록입니다. 대부분은 계기판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며, 색상(빨간색, 주황색, 녹색)에 따라 심각도와 즉각적인 대응 필요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1~10번: 기본 주행 및 전조등 관련
-
전면 안개등 - 앞 유리에 안개가 낀 경우 점등 여부 표시
-
파워 스티어링 경고등 - 조향 장치 이상 경고
-
후면 안개등 - 뒷 유리 쪽 안개등 켜짐 알림
-
세정액 부족 - 워셔액이 부족할 때 표시
-
브레이크 패드 경고 - 패드 마모 시 교체 필요
-
정속주행 켜짐 - 크루즈 컨트롤 작동 중임을 알림
-
방향지시기 - 좌우 깜빡이 작동 여부
-
빗방울·빛 감지기 - 오토라이트·와이퍼 감지 센서 알림
-
동절기 모드 - 겨울철 눈길 주행 모드 활성화
-
정보표시장치 - 차량 시스템 안내 메시지
11~20번: 엔진·점화 관련
-
예열 플러그 경고 - 디젤차 예열 필요
-
서리 주의 - 외부 온도 낮을 시 표시
-
점화스위치 경고 - 키 상태 이상
-
차내 열쇠 없음 - 스마트키 미탑재 시 표시
-
전자열쇠 배터리 부족 - 키 배터리 교체 필요
-
차간 거리 경보 - 전방 충돌 위험 알림
-
클러치 밟기 - 시동 걸 때 클러치 페달 안내
-
브레이크 밟기 - 시동 걸 때 브레이크 페달 밟으라는 표시
-
스티어링 잠금 - 핸들 잠김 상태 경고
-
상향 전조등 - 하이빔 켜짐
21~30번: 안전장치 및 조명 관련
-
타이어 공기압 부족 - 펑크 위험 표시
-
차폭등 정보 - 차폭등 점등 여부
-
외부등 결함 - 헤드라이트·후미등 고장
-
브레이크등 경고 - 브레이크등 작동 불량
-
디젤 배기가스 후처리 경고 - DPF 이상 경고
-
트레일러 견인 장치 경고 - 연결 상태 불량
-
공기현가장치 경보 - 에어 서스펜션 이상
-
차선이탈 경고 - 주행 중 차선 벗어남 감지
-
촉매변환장치 경고 - 배출가스 장치 이상
-
안전벨트 미착용 - 안전벨트 미체결 경고
31~40번: 브레이크·전원·차체 장치
-
주차 브레이크 등 - 사이드 브레이크 작동 표시
-
배터리·교류발전기 경고 - 충전 불량
-
주차보조 장치 - 주차 센서 이상 알림
-
오일 교환·서비스 요망 - 정비 필요 알림
-
자동 전조등 - 적응형 헤드라이트 작동
-
전조등 범위 조정 - 헤드라이트 높이 조절 알림
-
후방 스포일러 경고 - 작동 불량
-
컨버터블 루프 경고 - 지붕 개폐 문제
-
에어백 경고 - 에어백 시스템 이상
-
수동식 브레이크 경고 - 핸드 브레이크 작동
41~50번: 연료·엔진 관련
-
연료 여과기 물 있음 - 디젤 차량에서 물 감지
-
에어백 작동 정지 - 에어백 꺼짐 상태
-
결함 문제 - 차량 시스템 오류
-
전조등 하향등 - 로우빔 점등
-
공기 여과기 오염 - 필터 교체 필요
-
경제운전 지시기 - 연비 주행 가이드
-
내리막길 주행 제어 - 경사로 주행 보조 작동
-
온도 주의 - 냉각수 과열 경고
-
ABS 경고 - 제동 보조 시스템 이상
-
연료 필터 경고 - 연료 여과기 문제
51~64번: 차량 개폐 및 기타 기능
-
문 열림 - 문이 닫히지 않음
-
보닛 열림 - 엔진룸 뚜껑 열린 상태
-
연료 부족 - 연료 경고등
-
자동기어박스 경고 - 변속기 이상
-
속도 제한기 - 제한 속도 장치 활성화
-
현가장치 조절 - 서스펜션 댐퍼 문제
-
유압 부족 - 오일 압력 저하
-
앞 유리 성에 제거 - 히터 가동 중
-
트렁크 열림 - 후방 트렁크 열림 표시
-
안정 제어장치 꺼짐 - ESP·VDC 꺼진 상태
-
빗방울 감지기 - 와이퍼 자동 모드 알림
-
엔진·배출 경고 - 엔진 체크 경고등
-
뒷 유리 성에 제거 - 리어 히터 작동
-
자동 와이퍼 - 유리창 자동 닦기
경고등 색상에 따른 대응 방법
-
빨간색 경고등: 즉시 정차 및 정비 필요. (엔진 오일 압력, 브레이크 경고, 에어백 등)
-
주황색 경고등: 주행 가능하나 조속히 점검 필요. (DPF 경고, 타이어 공기압 부족, 배터리 충전 경고 등)
-
녹색·파란색 표시등: 단순 기능 활성화 알림. (안개등, 방향지시등, 전조등 등)
결론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은 단순히 불빛이 아니라, 차량의 안전과 직결된 메시지입니다. 위의 64가지 경고등을 미리 숙지해 두면 실제 운전 중 불의의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빨간색 경고등은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이를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반대로 녹색·파란색은 기능 작동 알림일 뿐이니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운전자는 차량의 ‘언어’인 경고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사고와 비용을 줄이고, 더 안전한 주행 환경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자동차경고등, 자동차계기판, 경고등64가지, 자동차안전, 자동차정비, 자동차상식, 엔진경고등, 배터리경고등, 브레이크경고등, 타이어압력경고등